본 논문은 “무자본이 가장 거대한 자본이다”라는 역설적 선언 속에 담긴 캡틴후크의 무자본 창업철학을 탐구한다. 전통적 창업론이 자본을 출발점이자 필수 조건으로 전제해 왔다면, 무자본창업론은 오히려 자본의 부재 속에서 창조적 힘을 발견한다. 여기서 무(無)는 단순한 결핍이 아니라 모든 가능성이 응축된 잠재적 공간이며, 그 속에서 창업가는 새로운 질서를 조직한다. 캡틴후크는 무자본을 현실의 제약이 아니라 무한한 자원의 원천으로 해석하며, 고객을 자본으로, 비전을 나침반으로, 해적마인드를 추진력으로 삼는다. 이 철학은 경제학적 기법을 넘어, 존재와 생성의 문제를 사유하는 하나의 창업 인문학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무자본창업철학의 기초 위에서 ‘무로부터 유를 창조한다’는 행위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이 현대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상상력에 던지는 함의를 성찰한다.
최규철 연구원
취미로 과학과 수학을 연구하며 이를 생활과 비즈니스에 적용하기를 좋아하는 아마추어 물리학자, 아마추어 수학자, 아마추어 철학자이다. 어린이 스토리텔링 수학교재 '아인슈타인수학 전집'을 저술했으며, '초딩도 이해하는 상대성이론', '초딩도 이해하는 E=mc2'을 출판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교육철학에 관한 '나와 아인슈타인과 아가의 미소'를 출판했다. 최성호 대표와 함께 설립한 호기심을 살리는 우리들의 대학교 큐니버시티를 통해 꾸준히 과학과 수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초록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문제의식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론과 접근 방식
제2장 무자본창업철학의 사상적 배경
1. 전통적 창업론과 자본의 전제
2. ‘무(無)’의 철학적 의미 – 결핍인가, 가능성인가
3.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무에서 유로”
제3장 캡틴후크 무자본창업론의 핵심 원리
1. 무자본 – 고객이 곧 자본이다
2. 큰 목표 – 비전의 크기가 자원의 크기를 결정한다
3. 해적 마인드 – 불가능을 가능으로 전환하는 정신
제4장 무자본창업의 실천과 사례
1. 선매출을 통한 자본 창출 방식
2. 공유 자원과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확장 전략
제5장 무자본창업철학의 현대적 의의와 미래 전망
1.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와 영향
2. 미래 창업 환경과 무자본철학의 지속적 발전 가능성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