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인슈타인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아이다움’의 존재론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인슈타인은 교육의 본질을 지식의 주입이 아니라 호기심, 상상력, 그리고 자율적 탐구의 정신에서 찾았다. 이는 교육을 통해 외부적 성과를 추구하는 기존의 입시 중심 교육관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본 논문은 아인슈타인의 사상을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면서, 아이다움—즉 아이가 본래 지닌 신비, 생명력, 탐구 충동—을 억압하지 않고 존중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의 본질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아인슈타인의 교육 관련 언급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아이다움 개념을 현상학적·존재론적 틀 속에서 재해석한다. 나아가 아인슈타인의 교육철학이 오늘날 교육 현실에 던지는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교육을 인간 존재 자체의 가능성과 연결짓는 새로운 사상적 지평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교육을 단순한 수단이 아닌 존재론적 사건으로 조명하며, 아이다움의 보존이 곧 인간성과 창조성의 근본 토대임을 밝힌다.
최규철 연구원
취미로 과학과 수학을 연구하며 이를 생활과 비즈니스에 적용하기를 좋아하는 아마추어 물리학자, 아마추어 수학자, 아마추어 철학자이다. 어린이 스토리텔링 수학교재 '아인슈타인수학 전집'을 저술했으며, '초딩도 이해하는 상대성이론', '초딩도 이해하는 E=mc2'을 출판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교육철학에 관한 '나와 아인슈타인과 아가의 미소'를 출판했다. 최성호 대표와 함께 설립한 호기심을 살리는 우리들의 대학교 큐니버시티를 통해 꾸준히 과학과 수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Ⅱ. 아인슈타인의 교육철학
1. 아인슈타인의 인간관과 세계관
2. 호기심과 상상력의 교육적 의미
3. 지식, 자유, 자율성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관점
Ⅲ. 아이다움의 철학적 의미
1. 아이다움의 개념 정의
2. 현상학적·존재론적 관점에서의 아이다움
3. 아이다움과 인간 존재의 본질
Ⅳ. 아인슈타인 교육철학과 아이다움의 연결
1. 아인슈타인 사상 속 아이다움의 발견
2. 아이다움과 교육의 본질적 목적
3. 아이다움의 보존과 창조성의 실현
Ⅴ. 현대 교육에 대한 시사점
1. 입시 중심 교육의 한계와 비판
2. 아인슈타인 교육철학이 제기하는 대안적 방향
3. 교육의 존재론적 성격에 대한 재인식
Ⅵ.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2. 교육철학적 함의
3. 후속 연구의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