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접기
존 폰 노이만, 디지털 문명의 개척자. 존폰노이만디지털문명의개척자_thumbnail
구매 가능

존 폰 노이만, 디지털 문명의 개척자

...
마음에 드셨나요?
[ComplexContentWithDelimiter][DeliAbstract]

20세기 인류 지성의 최전선에는 언제나 존 폰 노이만이 있었다. 동시대의 천재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나 앨런 튜링과 비교될 때조차 그는 ‘가장 빠른 두뇌’로 불렸다. 그의 지성은 특정 분야에 머무르지 않고 순수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생명 과학의 경계를 허물며 현대 문명의 근본 설계도를 그려냈다. 이 책은 인류 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친 지성, 존 폰 노이만의 생애와 업적을 따라가는 지적 탐험이다. 헝가리의 신동이 어떻게 20대 초반에 양자역학이라는 혼돈의 세계에 수학적 질서를 부여했는지, 그의 초기 연구가 어떻게 현대 물리학의 언어를 완성시켰는지 살펴본다. 이어서 2차 세계대전의 포화 속에서 탄도 계산의 필요성이 어떻게 ‘폰 노이만 구조’라는 현대 컴퓨터의 심장을 낳았는지 추적한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그의 논리적 설계 위에 서 있다. 폰 노이만의 혁명은 기계의 세계에만 머물지 않았다. 그는 인간 사회의 복잡한 상호작용마저 수학의 언어로 풀어내려 했다. 경제학자 오스카르 모르겐슈테른과 함께 창안한 ‘게임 이론’은 경제학, 정치학, 군사 전략의 패러다임을 바꿨고,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전략적 사고를 지배했다. 말년에는 생명의 본질에 다가가 ‘자기 복제 오토마타’라는 개념을 통해 인공 생명과 복잡계 과학의 씨앗을 뿌렸다. 하지만 그의 빛나는 업적 뒤에는 깊은 그림자가 존재한다. 맨해튼 프로젝트와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인류의 파괴력을 극대화했고, 그의 냉철한 합리성은 때로 섬뜩한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그의 순수한 지적 호기심이 어떻게 인류에게 무한한 가능성과 동시에 짙은 윤리적 딜레마를 안겨주었는지 조명한다. 폰 노이만의 유산을 따라가는 여정은 곧 우리가 살고 있는 디지털 문명의 기원을 이해하고, 그 미래를 성찰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DeliAuthor]

무(無)로부터 유(有)를 끌어내는 해적. “무자본 창업”의 창시자이자 시공간의 본질을 파헤치는 철학적 기업가. ‘존재만으로 충분하다’는 믿음으로 우주의 문을 노크한다.

[DeliList]

프롤로그: 인류 지성의 최전선 Chapter 1: 수학적 토대: 양자역학과 함수 공간의 설계 Chapter 2: 디지털의 심장: 폰 노이만 구조의 건축 Chapter 3: 사회과학의 혁명: 게임 이론의 창안 Chapter 4: 최후의 경계: 자기 복제와 복잡계 Chapter 5: 냉전과 유산: 천재의 도덕적 딜레마 에필로그: 폰 노이만의 그림자